말랑코딩
Docker에서 git 연동 개념 본문
이전에는 docker나 git을 사용할 일이 없었는데,
새로운 환경에서 작업을 시작하게 되어 전체 구조가 헷갈려서 구조를 정리해본다.
현재 나의 작업 환경
1. 윈도우에 wsl2 ubuntu 가상머신을 설치
- 리눅스 명령어 사용하기 위함
2. ubuntu 머신 안에 docker를 설치
-각 환경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함
3. docker 내에 도커허브(dockerhub)에서 필요한 환경을 가져와 도커 이미지 및 컨테이너 구성
4. 내 window 로컬에 있는 데이터와 코드를 가져와 docker에 mount(마운트)
- 필요한 데이터와 코드를 가져와 사용하기 위해
5. 위의 로컬 위치를 git repository에 연동
- 내 코드 등을 팀원들과 공유하기 위함
6. docker에서 작업한 내용을 repository 에 바로 반영 가능
- 현재까지는 vscode를 이용해 커밋과 sync 등을 실행
아직 잘 모르는 부분이 많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Linux, Docker,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도커 레지스트리란? (0) | 2022.01.24 |
---|---|
[Docker] Dockerfile 작성, 옵션, 빌드 (0) | 2022.01.24 |
[Linux] 명령어 한줄로 마운트(mount)하기 (0) | 2022.01.18 |
[docker] 도커에서 gpu 사용 시 no running processes found (0) | 2022.01.18 |
Docker에서 txt 파일 만들어 Git에 commit하기 (0) | 2022.01.14 |
Comments